세포주기 조절2 [세포생물학] Chapter 19. Eukaryotic Cell cycle 5~8 정리 19. 5 세포분열단계 진입*Precipitous (갑작스러운) mitotic CDK의 활성화가 체세포분열을 개시한다. -M-CDK는 CDK subunit의 inhibitory 인산화로 인해 DNA 복제가 완성될때까지 불활성상태를 유지한다.-S와 G2기에서 CDK 소단위체의 인산화는 M-CDK의 활성을 제한한다.-M 사이클린의 농도는 점점 올라가는데 M-CDK의 농도는 G2후기부터 갑자기 올라간다.-M-CDK의 활성화는 Wee1의 불활성화, 그리고 Cdc25의 활성화로 인해 일어난다.-M-CDK는 빠르게 Wee1 kinase를 불활성화 시키고 Cdc42 phosphatase를 활성화시키는양성피드백 loop에 의해 스스로 활성화된다.→Polo kinase family : 방추사 형성 / 염색체 분리→Aur.. 2024. 11. 25. [세포생물학] Chapter 19. Eukaryotic Cell Cycle 1~4 정리 19.1 세포주기와 그 조절에 관한 개요 사이클린과 이에 의존하는 인산화 효소인 Cdk에 의해 조절한다. (cyclin-dependent kinase) Cdk의 농도는 일정하다.→ positive feedback mechanism (양성피드백 매커니즘)CDK + 사이클린 → 신호19. 3 CDK 활성의 조절: 사이클린은 그 사이클린이 조절하는 세포 주기의 단계에서만 존재한다! 그리고 그 종류가 세포주기 시기마다 다르다. 사이클린CDK G1DCDK 4,6불활성 CDK는 T-loop이 있다 →활성자리에 기질이 결합하는 걸 방해함 G1 /SE, ACDK 2S Mitotic (분열)A, BCDK 1 M-CDK인 CDK1이 불활성화 되면 M기가 끝났다고 판단한다.G1기 CDK인 CDK 4,6은 성장인자로서 세.. 2024. 11.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