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자14

[세포생물학] Chapter 19. Eukaryotic Cell cycle 5~8 정리 19. 5 세포분열단계 진입*Precipitous (갑작스러운) mitotic CDK의 활성화가 체세포분열을 개시한다. -M-CDK는 CDK subunit의 inhibitory 인산화로 인해 DNA 복제가 완성될때까지 불활성상태를 유지한다.-S와 G2기에서 CDK 소단위체의 인산화는 M-CDK의 활성을 제한한다.-M 사이클린의 농도는 점점 올라가는데 M-CDK의 농도는 G2후기부터 갑자기 올라간다.-M-CDK의 활성화는 Wee1의 불활성화, 그리고 Cdc25의 활성화로 인해 일어난다.-M-CDK는 빠르게 Wee1 kinase를 불활성화 시키고 Cdc42 phosphatase를 활성화시키는양성피드백 loop에 의해 스스로 활성화된다.→Polo kinase family : 방추사 형성 / 염색체 분리→Aur.. 2024. 11. 25.
[세포생물학] Chapter 19. Eukaryotic Cell Cycle 1~4 정리 19.1 세포주기와 그 조절에 관한 개요 사이클린과 이에 의존하는 인산화 효소인 Cdk에 의해 조절한다. (cyclin-dependent kinase) Cdk의 농도는 일정하다.→ positive feedback mechanism (양성피드백 매커니즘)CDK + 사이클린 → 신호19. 3 CDK 활성의 조절: 사이클린은 그 사이클린이 조절하는 세포 주기의 단계에서만 존재한다! 그리고 그 종류가 세포주기 시기마다 다르다.  사이클린CDK G1DCDK 4,6불활성 CDK는 T-loop이 있다 →활성자리에 기질이 결합하는 걸 방해함 G1 /SE, ACDK 2S Mitotic (분열)A, BCDK 1  M-CDK인 CDK1이 불활성화 되면 M기가 끝났다고 판단한다.G1기 CDK인 CDK 4,6은 성장인자로서 세.. 2024. 11. 20.
[안전관리학] 의약품의 개발 과정 한 화학 물질이 의약품으로서 연구되고, 또 하나의 제품으로 나올 때 까지의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이 간단한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각각의 단계를 5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기초탐색 및 원천기술 연구2. 개발후보물질 (=lead) 선정3. 전임상(비임상) 시험4. 임상시험(Clinical Trial)5. 신약 허가 및 시판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한 첫 초기 단계에는 아직 의약품이 아닌  target 단백질이나 분자로서 확인이 되고, 이것이 개발 후보 물질로 선정되면 lead라고 불리게 된다. 이후 사람에게 시험되기 전 먼저 동물 등에 전임상 시험을 거치게 되고, 사람에게 임상시험 3상까지 거치고 안전성, 유효성이 입증 되면 신약 허가와 시판이 가능케 된다. 이후 시판 후 부작용 연구 단계가 이어진다.. 2024. 11. 19.
[안전관리학] 1. 규제과학과 의약품 안전관리 Vioxx 사건Vioxx (Rofecoxib):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의 일종으로, 원래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만성 통증 관리 용도로 개발되었으며, Merck에서 상용화했다. 시판 초기에는 소화관 출혈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평가받았지만, 심혈관계 위험이 높아지면서 큰 논란이 되었다. 사용 후 5년 만인 2004년 시장에서 철수되었으며, 부작용으로는 심장마비 발생률이 2배로 증가하고 사망률도 높아졌다.-비교 연구: Vioxx는 이부프로펜과 나프록센 같은 비선택적 NSAID와 비교 연구에서 출혈 위험 감소의 이점을 제공했지만, 심혈관계 부작용이 드러나면서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주요 임상 연구APPROVe 연구 (Adenomatous Polyp Prevention of Viox.. 2024. 11. 14.
Chapter 18. Microtubules and Intermediate filaments 7~8 정리 18. 7 Intermediate filament (중간섬유) 기초 단위 : 이량체 (dimer) x 2 → tetramer x 여러개 (역평행으로 배열되어있다 ) → protofilament x 4 → protofibril x 4 → 10-nm filament x 16 → 중간섬유 * Cytoplasmic IF(Intermediate filament) 단백질은 조직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존재한다. I Acidic keratin (산성 케라틴) 상피세포(염기성은 soft keratin→cytokeratin)데스모좀(strength 제공)세포 내 신호전달 문제 → 피부병II Basic keratin (염기성 케라틴) III desmin, GFAP, vimentin(데스민, GFAP, 비멘틴) 근육, 신.. 2024. 11. 12.
[세포생물학] Chapter 18. Microtubules and Intermediate filaments 6정리 18.6 Mitosis (체세포분열)-분열기 (M기, mitotic phase): 세포분열+세포질분열 (cytokinesis)-간기 (interphase) : G1, S, G2기 ·Centrosomes (MTOC)는 체세포 분열을 위해 세포주기 초기에 복제된다. *Centrosome Duplication: G1/S phase CDK 와 PIk4에 의해 시작된다→ M기 CDK에 의해 centrosome이 두개로 나눠진다. *Mitosis (6단계)Interphase : Centrosome duplicationProphase : Mitotic aster (성상체) 형성, 키네신5에 의해 분리된다. + 염색체 응축 →양 극으로 움직이는 mitotic spindle pole이 된다. Prometaphase: .. 2024.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