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자/세포생물학-Lodish

[세포생물학] Chapter 17. Cell Organization and Movement I: Microfilaments 1~4 정리

by 감쟈링 2024. 10. 17.

 

들어가기 전에) cytoskeleton 구성하는 세가지(미세섬유, 미세소관, 중간섬유)의 공통점(from Gen bio): maintenance of the cell shape

 

17.1 Microfilaments and actin structures

ex1) Epithelial cell (apical/basolateral domain-polarized)

ex2) Migrating cell (fibroblast/macrophage) : microfilaments extend.

 

*Microfilament (미세섬유) --> 액틴, 7-9nm

-microvilli (융털)

-cell cortex (plasma membrane 바로 아래)

-Adherens belt

-filopodia / Lamelliopodium, leading edge

-stress fiber(has focal adhesion/ focal contact

-phagocytosis (내포작용) / moving endocytic vesicles

-contractile ring (cytokinesis, 즉 세포질 분열 진행할 때)

 

미세 섬유의 역할 예시를 보면 거의 다 세포 안에서 뭔가를 움직일 때 사용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내포작용이나 세포질 분열, 세포소기관 이동 등등..

 

*액틴: 근육세포에는 10%정도, 근육세포 아닌 일반세포에는 1~5%정도 구성하고 있다.

동물의 액틴을 구성하는 단백질 유전서열은 80% 같다. (변이가 많이 안된 만큼 우리 몸에서 중요한 단백질이다)

 

*G-actin (monomer) -----> F-actin (polymer), helical (2개가 휘감은 구조)

-Each actin molecule contains Mg2+ ion complexed with either ATP or ADP

-1개의 반복 단위는 28 subunit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두 한 방향으로 배열)

 

(+)말단: favored for the addition. 여기서는 신장, 합성이 잘 일어난다. 그리고 ATP 결합 틈이 옆의 subunit을 향해 있다.

그래서 나중에 미세섬유 있는 구조를 보면 항상 뻗어나오는 쪽이 (+)말단 쪽이다. (융털에서도 튀어나온쪽이 +말단)

(-)말단: 미세섬유의 끝에는 binding cleft가 노출되어있다. 여기서는 길이가 짧아진다. (favored for subunit dissociation)

*미오신이 결합 가능하다! (미세소관, 중간섬유에는 불가능)

 

17.2 Dynamics of actin filaments

*3 Phases of in vitro G-actin polymerization

i) Nucleation phase → 여기가 속도결정단계 (RDS) 이다

2개나 3개의 G-액틴이 서로 모여서 oligomer을 만든다. 이 oligomer의 길이가 3개가 되면 다음 단계의 'nucleus'로 사용될 수 있다.

 

ii) Elongation phase (신장단계)

: 짧은 oligomer가 빠른 속도로 양 말단을 신장시켜서 길이가 길어진다.

이때 G-액틴 단량체의 농도가 미세섬유 말단과 단량체 사이에 평형을 이룰만큼 낮아지면 steady state가 된다. (속도 일정해짐) 효소가 기질과 결합하는 그래프에서 나중에 속도 일정해지는 그래프랑 같은 모양이다.

 

iii) Steady-state phase

: G-actin monomers exchange with subunits at the filament ends, but no net change in length.

 

특정 농도 이하의 G-actin → 중합 일어나지 않음. (G-액틴의 농도가 중요하다)

→이때의 '특정농도'를 Cc라고 한다. (critical concentration) : filament가 형성되는 농도, steady state에서 단량체의 농도.

(+)말단과 (-)말단이 ATP-G-actin을 소실하는 속도는 비슷하지만 중합하는 속도가 다르다.

(+)에서 실질적인 신장이 일어나지 않는 농도를 Cc+로 표기한다. (이 critical concentration은 당연히 +말단에서 더 중합이 잘 일어나므로 +말단의 Cc가 더 작다.

 

이렇게 (-)말단으로 갈수록 Actin-ADP, (+)말단으로 갈수록 Actin-ATP 형태가 많아진다. 그 중간은 Actin-ADP-Pi.

이 세개 형태는 뒤에 나오는 단백질 역할을 이해하려면 꼭 알고있어야 한다.

 

여기서 액틴에 붙는 단백질들을 Actin binding protein이라고 한다.

profilin: ADP-actin에 결합하면 ADP 소실을 증진시킨다 → profilin-ATP-actin complex. 쉽게 말하면 ADP-actin을 ATP-actin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신장에 도움)

cofilin: (-)말단쪽의 subunit에만 결합하고, 필라멘트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소실에 도움) + 액틴 재활용

profilin과 cofilin이 반대 역할을 하면서 액틴 중합을 조절한다.

 

*왜 모든 액틴이 중합되지 않을까?

i) thymosin-β4 (actin monomer sequestering system)

ATP-G-protein에 결합해 액틴 단위체가 말단에 붙지 못하게 한다. (혈소판에 풍부→혈액 응고작용) : 버퍼 같이 작용.

G-액틴 농도가 낮아지면 다시 결합을 해제해서 풀어준다. (평형을 맞추기 위해)

이렇게 해서 액틴의 농도가 높을 때는 모두 중합되지 않게 하고, 액틴의 농도가 낮아서 액틴이 필요할 때는 비축된 액틴을 제공해줄 수 있다.

 

ii) CapZ : (+)말단에 결합 → 첨가, 소실 억제 (액틴 dynamics를 -말단으로만 제한시킨다) 이름처럼 말단에 capping시켜서 아무것도 못하게 막는다는 거다.

Capping protein인 CapZ는 PIP2에 의해 억제된다.

regulatory proteins function

 

iii) Tropomodulin : (-) 말단에 결합 → filament 안정화 (트로포미오신에도 결합)

 

+)

Gelsolin: actin filament 절단 (칼슘이온농도에 의해 조절된다)

actin cross-linking protein

 

 

17.3 Mechanisms of Actin filament assembly

*Actin nucleating protein

i) formin : 긴 액틴 필라멘트의 중합 유도 (unbranched filament)

→여기서 unbranched는 stress fiber이나 contractile ring에서 사용된다.

ii) Arp 2/3 complex :branched network 유도 → leading edge에서 사용된다.

 

Formin : FH2 domain 2개 모여서 이합체 (dimer) → complex → 2개의 액틴 subunit에 결합

→allow insetion of additional subunits between FH2 domain and (+) end. FH2는 (+)말단이 capping되는 것을 막는다.

FH1 domain은 profilin이 결합하는 위치이다 (FH2 부근)

Rho-GDP → Rho-GTP →formin에 결합

 (비활성)           (활성)       (RBD)

 

옆에 그림처럼 RBD (Rho binding domain)에 Rho-GTP가 붙으면 중합이 시작된다.

 

 

Arp 2/3 complex : branched filament assembly를 시작시킨다.

-NPF (nucleation promoting factor)의 도움으로 활성이 일어난다. (ex: WCA)

여기서 WCA는 NPF임!

1) 액틴이 NPF의 W에 붙고

2) Arp 복합체가 A에 붙는다.

3) 액틴이 Arp 복합체에 결합한다

4) (+)말단의 중합이 시작된다.

 

+) WASp (NPF의 한 종류) →WCA를 가리는 물질 때문에 불활성 상태

Wiskott - Aldrich syndrome 환자에게 결핍

증상: eczema(습진), low platelet, 면역결핍

Cdc42-GTP 와 WASp의 RBD 결합 → acidic A domain 노출 (Cdc42는 G단백질의 한 종류)

 

*Listeria의 움직임 (액틴 polymerization 사용)

-Act A 라는 단백질을 가지고있다. (NPF의 역할을 한다: activates Arp 2/3 complex)

-use 4 proteins (ATP-G-actin, Arp 2/3 complex, CapZ, cofilin)

-polymerization is confined to the back of the bacterium

 

*VASP

-profilin-ATP-actin과 결합 가능 (ATP-actin assembly 증진)

-새로 형성된 필라멘트의 말단에 붙어있을 수 있다.

-CapZ 막기 가능

 

*Endocytosis (내포작용): leading edge나 listeria motility와 유사하다.

1) Opsonization(옵소닌화) : surface protein에 대한 특이적 항체에 의해.

2) Leukocyte (백혈구)의 Fc receptor가 Fc영역 인식, signal 보냄 (불변영역을 인식한다)

3) microfilament assembly (with 미오신 motor protein)

4) Phagosome (식포) → 리소좀에 의해 분해

 

*Toxins

i) Cytochalasin D: F-actin의 (+)말단에 첨가

ii) Latrunculin : G-actin에 결합 (sequesters G-actin)

위의 둘은 미세섬유의 중합을 막는다 (짧아지게)

iii) Jasplakinolide : actin dimer에 결합, nucleation증진

iv) Phalloidin : specifically binds to actin filament, depolymerization 막음. (염색에 쓰임)

이 둘은 미세섬유를 오히려 더 길게 만드는 독소들이다.

 

 

17.4 Organization of Actin-based cellular structures

*Cross-linking protein: 액틴 배열, 2개의 F-actin binding site. 두 군데 를 이어주는 단백질이다.

5가지 cross-linking protein들이 모양 다 다르게 생겼다.

*Adaptor protein →액틴 필라멘트와 membrane 연결

Ex 1) Erythrocyte (적혈구)에서 : tropomyosin + tropomodulin (아까 -말단 덮었던 단백질)

i) Ankyrin : spectrin을 bicarbonate transporter에 붙임.

ii) Band 4.1 : spectrin과 F-actin 모두에결합. → glycophorin C에 부착.

Spherocytic anemia (빈혈증) : 적혈구가 쉽게 rupture. spectrin, ankyrin, band 4.1에 변이가 생김.

 

ii) Lateral attachment (측면부착) → ERM protein (Ezrin-radixin-moesin, 이건 몰라도됨.)

인산화에 의해 활성화 된다. cytoplasm에 직접연결되거나 scaffolding protein 사용한다.

Muscular dystrophy(영양실조) : 점진적으로 근육이 약화된다. Dystrophin이 없거나 손상된다. (남자에게서 더 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