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

[약물학] Ch.3 Pharmacokinetics & Pharmacodynamics 약대를 다니며 가장 많이 배울 PK와 PD의 차이점!!!!! 여기서 나온다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 남은 약물이 '조직 도착 후' 몸에서 일으키는 변화의 범주를 다룸. *Volume of Distribution:체내에 존재하는 약물 양을 혈액 또는 혈장 내 약물농도로 나누었을 때의 용적을 뜻한다. 단, 약물이 전신에 균질분포한다는 가정 하에서 계산한 값이므로 "가상의" 부피이다. → 원하는 혈중농도에 도달하기 위한 약물 투여량을 결정할 때 사용한다. -높은 Vd: stay in extravascular compartments (조직에 분포하는 양이 더 많음) ex. chloroquine, digoxin -낮은 Vd: 혈장에 존재하려는 경향이 더 높다. 혈액에만 .. 2024. 10. 4.
[일반화학실험]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 이 실험은 물 위에 생기는 기름막을 이용해 아보가드로 수를 계산하는 실험이다.아보가드로 수란 질량수가 12인 탄소 12g에 들어있는 탄소 원자의 수를 말한다. N=6.022x10^23정의에 따라, 탄소 원자 1몰이 차지하는 부피와 탄소 원자 하나가 차지하는 부피를 안다면, 그 둘을 나눠서 계산할 수 있다. 실험에 이용되는 스테아르산 (stearic acid)는 탄소사슬 끝에 카복실기가 붙어있어 극성을 나타낸다. 그렇기에 물에 떨어트렸을 때 극성을 가진 카복실기는 물과 친해 잘 붙지만, 무극성인 탄소사슬 부분은 hydrophobic하므로 물과 잘 붙지 않는다. 그래서 단층막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실험에 이용한다. 1. 피펫에 헥세인을 채운 후 헥세인의 부피가 1.00mL가 될 때까지 용액을 떨어트린다... 2024. 10. 3.
삼아 리도멕스로션 0.3% - 효능효과 , 부작용, 사용방법, 보험 오늘 소개할 의약품은 삼아 리도멕스 0.3% 로션이다.주성분은 프레드니솔론발레로아세테이트 (Prednisolone valerate acetate) 로, 스테로이드 성분이다.스테로이드는 일반적으로 강도에 따라 7개의 클래스로 구분되는데, 프레드니솔론발레로아세테이트는 보통 Class 4 또는 5로 분류된다. 스테로이드의 강도가 중간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성분은 피부 염증을 완화하고 가려움증을 줄이기 위해 주로 피부과에서 처방되어 다양한 피부 질환에 사용되며, 너무 강하지 않아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이다. 보통 아토피 피부염, 건선, 습진 등과 같은 염증성 피부 질환에 처방된다.그러나 강도가 강하지 않더라도 전문약이고, 스테로이드 제제는 장기 사용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자의적으로 .. 2024. 10. 2.
[일반화학실험] 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 (적정, 역적정 실험) 본 실험은 적정 실험으로 산, 염기의 중화 반응을 이용해서 산, 염기의 농도와 순도를 결정하는 실험이다.적정, 역적정 실험 레포트 적정 (titration) : 일정한 부피의 시료용액 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양을, 이것과 반응하는데 필요한 이미 알고 있는 농도의 시약의 부피를 측정함으로써 구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적정은 직접 적정(표준 용액으로 적정)이고, 이와 반대되는 간접적정에는 역적정이 있다. 역적정이란 미지 용액에 과량의 표준 용액1을 가해 반응시킨 후, 이때 반응하고 남은 표준용액1의 양을 표준용액2와의 적정을 통해 알아냄으로써 미지용액의 농도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실험 A. 식초 분석1. 식초 2.00mL를 250mL 삼각 플라스크에 넣는다. 2. 40.0mL의 증류수를 플라스크에 넣.. 2024. 10. 1.
[약물학] Ch. 2 Drug Receptors & Pharmacodynamics 먼저, 아래의 식이 나온다  여기서 왼쪽의 B = C에서 점유된 수용체의 결합부위 농도B = 수용체 결합부위 총 농도Kd = 최대결합의 50%가 일어나는 농도를 뜻하며, 작을수록 affinity가 높음1. Receptor - Effector Coupling (신호 전달과정)*Spare Receptor:모든 수용체가 점유되지 않은 상황에서 최대 효과가 일어났을 때 남는 수용체를 의미한다.모든 receptor가 다 effector로 꽉 차지 않더라도 max effect에 도달한 상황이면 점유되지 않은 receptor는 spare 역할을 하게 된다.Spare receptor가 없게 되면 maximum effect가 변하면서 agonist의 spare receptor가 없을 때 ED50이 Kd와 유사해짐    .. 2024. 9. 30.
[약물학] Ch.1 Introduction 챕터 7 전까지는 구체적인 적응증에 대한 약물보다는 전반적인 약물학 내용에 대해 배운다!어떻게 보면 일반생물학에서 더 확장된 내용들?처음에 배울때는 이 지겨운 내용들 왜 또 배워... 이랬는데 지금 다시 내용 보니까 왜 배웠는지 알겠음뒤에 주구장창 나오기 때문..!!!! 아무튼 처음에는 Pharmacology에 대한 내용을 배운다.1.  Drug-body interaction①Agonist (효능약): Receptor를 활성화시켜 준다.-receptor = effector인 경우 → ex. 이온채널-receptor ≠ effector인 경우 → conformation change에 의한 effector- receptor interaction②Antagonist 중 경쟁적 저해제(competitive an.. 2024. 9. 17.